마마 카지노

[창간21주년]일자리 창출 디딤돌로 사회적 가치 실현

사회적 기업 어디까지 왔나

2010-05-13     김창식
취약계층 중심 운영으로 자본·판로 확보 부진
전문사업 추진도 어려워 일반기업과 경쟁 안돼
지자체 조례제정과 함께 실질적인 지원 절실
시, 2012년까지 25개 사회적 기업 육성키로
▲ 울산 중구 시니어클럽에서 운영하는 사회적기업 ‘아삭김치’공장에서 어르신들이 상품을 만들고 있다.
60세 이상의 고령자나 장애인, 여성, 저소득층 등 취업 취약계층에겐 사회적 참여는 여전히 거대한 장벽처럼 인식되고 있는게 우리 사회의 현주소다. 고용불안, 빈부격차 등으로 인한 사회 양극화는 해가 갈수록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좋은 일 하면서 수익을 창출하는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이 취업 취약계층에게 새로운 희망을 싹트게 하고 있다.

기업의 이윤만을 추구하는 일반 기업과는 달리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 희망과 삶의 용기를 북돋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좋은 일을 하면서 수익을 내는 사회적 기업의 경영윤리가 지역 주민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것이다.

비록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 역사는 일천하지만, ‘빵을 팔기 위해 직원을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직원을 고용 하기 위해 빵을 파는 기업’이라는 새로운 기업운영의 패러다임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가치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보는 창간 21주년을 맞아 사회공익에 목표를 두고 시장경제에 활기를 불어넣고 사회통합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 울산 지역의 사회적 기업의 현주소와 문제점, 육성 방향을 진단해 본다. 편집자주



중구시니어클럽 아삭김치사업단은 60세이상의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난 2009년 11월 노동부로부터 인증을 받은 고령자 중심의 사회적 기업이다. 60대 이상의 노인(7명)을 고용해 취약계층에게 일자리 제공과 안정적인 소득보장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고 있는 셈이다.

울주군 온양읍에 설치해 운영중인 김치공장에선 하루 600㎏에서 많게는 1t 정도까지 김치를 생산한다. 김
▲ 범서문화마당로컬푸드사업단에서 농산물을 직접 생산한 재료로 만든 상품.
치를 담근 경력이 누구나 30~40년씩은 거뜬히 넘다 보니 곰삭은 손맛에다 100% 우리농산물을 재료로 우수한 품질의 김치를 만들어 울산시청과 사회복지시설 등에 먹거리로 공급하고 있다.

취약계층이 기초생활 수급자로 가지 않도록 일자리 창출을 통해서 안정적을 소득을 보전하고 있는 중구시니어스클럽의 이같은 사업 아이템은 대표적인 사회적 기업의 일자리 창출사업으로 벤치마킹 되고 있다. 중구시니어클럽은 전국 노인생산품대회 아삭김치 대상 수상에 이어 지난 2009년 보건복지부 평가 4년 연속 우수기관에 선정됐다.

중구시니어클럽 손경숙 관장은 “매출 확대를 위한 수요처 확대가 급선무다”면서 “지역민들이 김치를 먹어 줌으로써, 일자리가 늘어나고, 사회적 비용도 경감할 수 있는 만큼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와 공공기관 우선 구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범서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지역민들에게 공급하는 로컬푸드사업단을 운영하는 범서문화마당(대표 김봉재)은 도농 복합지역인 지역 특성을 감안해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사회적 공동체를 구현하는데 목표를 둔 예비 사회적 기업이다.

저소득층과 고령자, 장애인 등 취업취약계층(11명) 근로자들이 농산물을 직접 생산하고, 또 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직거래장터나 반찬, 급식지원 사업 등을 통해 지역민들에게 공급한다. 생산농가에는 소득을 높여주고, 지역 주민들에겐 신선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값싸게 공급해 상생의 경영을 펼치는게 이 회사의 경영 철학이다.

또 연어축제, 태화강 고래길 탐방 등 생태문화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 역사문화·생태복원으로 공동체 마을만들기를 시도하고 있다. ‘범서 옛길 찾기’ 프로그램은 2009년 행안부로부터 ‘참살기 좋은 마을만들기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사회적 기업의 현주소와 과제

지난해 말 현재 울산지역 사회적기업은 7개소(일자리 167개), 예비사회적 기업 13개소까지 포함하면 총 20개소에서 400여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예비를 제외한 본 인증을 받은 사회적기업은 전국 289개소 가운데 2.4% 수준에 불과하다.

이제 갓 걸음마를 띨 만큼 시간과 자본, 경영 경험이 절대 부족한 이들 사회적 기업들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데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사회적 기업을 꾸려가는데 필수적인 구성원들의 인건비를 지원(1인당 국비 85만원)받기 위해서라도 조속히 수익 모델을 창출해야 하지만, 자본과 판로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영세한 구멍가게 수준에선 먼 목표치에 불과하다.

▲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착실히 발전하고 있는 범서문화마당로컬푸드사업단(대표 김봉재) 직원들이 상품을 들고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회적 취약계층 중심으로 기업을 운영하다 보니 생산성이 떨어져 일반 기업과의 경쟁에서 살아남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에 내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성 있고 고부가가치성의 사업 아이템을 선정, 추진할 수 없는 태생적인 한계가 사회적 기업에겐 쉽사리 헤쳐가기 어려운 난관이 되고 있다.

지자체의 우선 구매나 지속적인 지원 등의 인센티브가 없으면 근본적으로 살아남기 어려운 게 사회적 기업의 현주소다.

사회적 기업들은 지자체의 실질적인 지원에 큰 기대를 걸고 있지만 아직은 아쉬움이 더 크다.

울산시의 경우 지난해 8월 사회적기업 지원조례를 제정, 시행하고 있지만, 아직 공공구매 및 위탁 등의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 구·군 가운데 울산 동구만 2008년 12월 조례를 제정했을 뿐이다.

게다가 사회적 기업지원 조례는 의무사항이 아닌데다 법인세 감면 등의 혜택도 없어 조례에 근거해 실질적인 지원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기반이 취약한 탓에 정부의 지원이 끊긴다면 그 순간부터 사회적 기업은 문을 닫아야 할 처지에 놓이게 되는게 현실이다.

김봉재 범서문화마당 대표는 “사회적 기업들이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는 행정기관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지만, 행정기관의 지원은 아직 선언적 수준에 그치고 있다. 지자체의 조례제정과 함께 사회적기업에 보탬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울산시의 사회적 기업 육성계획

울산시는 오는 2012년까지 총 25개의 사회적 기업(일자리 530개)을 만들어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 2월 사회적기업 육성위원회를 출범시킨데 이어 이달 중 노동부의 사회적기업 육성·발굴 사업개발비(3억5875만원) 공모에서 지역 사회적 기업들이 최대한 많이 지원될수 있도록 협조를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또 새로운 사회적 기업가 양성과정인 사회적기업 창업아카데미(5.6~6.11)도 이달 중 개강했다. 하반기 ‘1사 1사회적기업 결연사업’을 통한 일자리 및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공공기관 우선 구매를 통해 사회적 기업의 자립기반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울산시 정진택 경제정책과장은 “지자체의 화두가 지역 일자리 창출이며, 취업취약계층에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게 사회적 기업이니 만큼 많은 다양한 사회적 기업 창업될수 있도록 창업아카데미, 지역 기업 홍보, 1사 1사회적기업 결연사업 등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글=김창식기자 goodgo@ksilbo.aykt6.com 사진=임규동기자 photolim@ksilbo.aykt6.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