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마 카지노

[청소년기자]휴대전화 규제 완화 주장 전에 절제력부터 갖춰야

스마트폰의 노예가 아닌...주인으로서의 모습 보여야

2013-12-12     차형석 기자
▲ 한 학생이 교실에서 스마트폰 게임을 하고 있다. 이런 모습은 교실에서 종종 볼 수 있는 풍경이다.

21세기에 들어선 이후 아주 빠른 속도로 전파된 필수품이며 남녀노소 가릴것 없이 손에서 놓지 못하는 물건이 바로 휴대전화이다. 기술의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면서 이제 휴대폰은 전화기 이상의 만능기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유치원생은 물론이고 칠순을 넘긴 할머니, 할아버지들까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는 것은 더 이상 어려운 일이 아니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청소년들이 예외는 아닐 것이다. 과거 피처폰 시절부터 누구보다도 능숙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휴대전화를 사용해온 청소년들은 메신저와 SNS, 그리고 그에 연동되는 게임들로 부모님 세대와는 많이 다른 모습으로 서로와 교감을 하고 있다.

오랜만에 친구와 만난 자리에서도 우리는 스마트폰 화면에 비친 자신의 얼굴만 바라보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고, 휴대전화와의 이별을 끝내 하지 못하고 늦게 잠자리에 드는 경우까지. 그러니 이런 모습을 교내에 까지 번지게 하는 것을 보고만 있을 학교가 아닐 것이다. 많은 초·중·고 학교에서는 그 대책으로 조례시간에 휴대폰을 수거하고 교무실에 보관하였다가 하교때 다시 돌려주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 김강민(달천고 1)

하지만 규제할 수록 또 다른 편법은 나오게 마련. ‘개통이 되지 않은’ 휴대폰을 대신 내거나 갖고 오지 않았다고 거짓말을 하는 등 그에 맞는 편법이 나오는 것은 당연한 현상일 것이다. 결국 여기서 우리는 한 번 생각해 봐야할 것이다. 과연 그런 식으로 휴대전화를 수거하는 것이 적절한 대처방안인가? 많은 학생들과 더불어 몇몇 선생님들 까지도 여기에 긍정적인 견해를 밝히는 사람은 드물었다.

가장 많은 의견으로 제시되는 것이 ‘어차피 수거를 할거면 휴대전화의 존재 자체가 무의미해지지 않는가?’이다. 또한 사전이나 검색기능, 그리고 인터넷강의 시청처럼 학습에 유용한 점까지 일부학생들의 부주의와 무절제한 사용을 근거로 차단시키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고 너무 과한 제한이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았다. 물론 주변 친구들의 학습에 방해가 될 정도라면 제재를 가할 필요가 있다는 건 사실이다. 다만 현재 시행하고 있는 방법들이 결국엔 어떻게든 피해가게 되어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학생들과 선생님들은 이미 인지하고 있다.

여기에 ‘학생들이 스스로 책임감을 가지고 사용을 절제하고 여러 유용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있다. 그러나 학교를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학생들의 자율에 맡기고 자유를 준다는 것이 여간 부담스럽고 미덥지 못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은 분명해진다. 불평만 할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절제할 수 있다는 것을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 스마트폰의 노예가 아니라 주인으로서의 위치를 분명하게 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만 학교도 조금씩 마음을 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