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마 카지노

[무거통신]부·울·경 “우리가 남이가” 동상이몽(同床異夢)

원전맹약 파기로 등 돌린 울산-부산
원전해체센터 공동유치로 상생 모색
센터 유치해 과거의 묵은 빚 청산을

2015-05-07     김창식
▲ 김창식 뉴미디어부장

“우리가 남이가!” 짧고 굵은 임팩트로 회사나 단체, 모임 간 소속감·유대감을 강조할 때 자주 등장하는 구호성 멘트다.

‘가깝고도 먼 이웃’ 울산과 부산이 지난 2010년 ‘수출형 연구용 원자로사업’ 밀약 사건 이후 소원한 관계를 견지해 오다가 최근 “우리가 남이가”를 외치며 강한 연대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김기현 울산시장과 서병수 부산시장은 서로 양 지역을 오가면서 해당지역 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차특강을 통해 상생발전을 부르짖고 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지난달 27일 울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특강에서 원전해체센터 공동유치를 울산에 제의, 김기현 울산시장은 이달 6일 교차특강에서 원전해체센터 공동유치가 양 도시의 상생모델이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김 시장은 “지방자치 시행 20년 동안 얽매였던 소지역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지차체간 협력’의 원칙 아래 선의의 경쟁에 나서야 한다. 한 뿌리에서 시작된 부산과 울산, 경남은 각자 비교우위에 있는 산업분야를 특화발전시킬 수 있도록 상호 지원하고, 공동의 협력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함께 손을 잡아야 한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지방자치제 출범 이후 부·울·경은 제각기 다른 지방분권의 길을 걷으면서 ‘가깝고도 먼 이웃’이 돼 버렸다. 부산과 경남은 남강댐과 합천댐 이용방안을 놓고 벌써 20여년째 ‘물 전쟁’을 치르고 있고, 가덕도와 밀양을 놓고 사활을 건 동남권 신공항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다. 부산이 주변부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면서 김해와 양산이 부산생활권 시나브로 편입되고 있는점도 경남으로서는 감정이 좋지 않다.

부산과 경남 사이에 낀 울산도 예외는 아니다. 노무현 정부 당시인 지난 2005년 울산 국립대 설립방안에 한국해양대의 울산이전안이 사실상 성사단계까지 갔으나, 부산시의 반발이 지역갈등으로 비화되면서 무산된바 있다. 2008년말 울산~부산간 해운대 고속도로 개통된 이후 울산의 자본의 유출이 증가하고 있다. 부산은 울산이 선점한 조선해양플랜트를 대표 산업으로 키우려 하고 있고, 북극항로 개척에서도 울산과 경쟁을 벌이고 있다. 울산의 미래 먹거리인 동북아오일허브 관련 금융기능도 부산이 이미 선점해 울산의 발전 잠재력이 크게 약화된 상태다.

경쟁자로 각자도생의 길을 걷던 부산이 갑자기 울산에 원전해체연구센터를 매개로 다시 손을 다시 내민데 대해 울산은 진정성에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있다. 울산은 앞서 ‘수출형 연구용 원자로사업’ 양보한 이후 부산으로부터 최소한의 양보는커녕 ‘원전맹약 파기’로 뒤통수를 맞은 아픔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울산은 지난 2010년 ‘수출형 연구용 원자로사업’을 ‘동남권 원자력벨트 공동 연합전선 구축’이라는 명분아래 유치신청을 철회, 부산의 손을 들어주었다. 부산은 ‘수출형 원자로사업’ 유치를 여세로 몰아 동남권 원자력의학원, 의료용 중입자가속기센터 등 원전관련 국책사업을 싹쓸해 놓고도 2014년 원전해체센터 유치의향서를 정부에 제출, 탐욕을 드러낸바 있다.

두 도시간 원전맹약을 깨면서까지 원전산업을 일으킨 ‘가진자’ 부산과 주력산업의 성장에 브레이크가 걸려 경제의 활력이 감퇴되고 있고, 원전메카 계획까지 차질을 빚고 있는 ‘갖지 못한자’ 울산은 이번에도 동상이몽(同床異夢)하면서 손을 맞잡았다. 두 도시의 밀월관계는 ‘원전해체연구센터 입지’의 향배에 따라 청산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점쳐진다. 두 도시가 “우리는 남이다”라는 가깝고도 먼 이웃 관계로 되돌아가는 경우가 생기지 않았으면 한다.

김창식 뉴미디어부장 goodgo@ksilbo.aykt6.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