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야댐 수몰 4개 마을 이주 실향민 협의회가 회야댐의 기후변화 대응 댐 선정을 앞두고 울산시에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수문 설치, 이주 실향민의 일자리 창출, 요지 이장 및 진입로 개설, 부동산 권리 보장, 역사마을·마을회관 건립 등이 주요 골자다. 환경부의 기후 대응 댐 선정에 가장 중요한 ‘주민 수용성’ 확보 여부를 가늠할 결정적인 과제다.

울산시의 대화와 협상 역량이 시험대에 올랐다. 회야댐은 정부가 기후 위기로 인한 극한 홍수와 가뭄, 국가전략산업의 미래 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전국에 선정한 14개 ‘기후 대응 댐’ 후보 중 하나다. 이를 두고 야당에선 ‘4대강 사업 2탄’이니, 댐 해체 시대에 역행하는 ‘기후파괴댐’이라 논리를 펴고 있다. 하지만 울산의 입장에선 회야댐의 기후변화 댐 선정은 댐 주변 홍수를 막고, 100만 시민의 식수원 확보를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다.

회야댐과 회야강 주변 지역은 홍수피해가 잦은 재해피해 지역이다. 태풍 차바(2016년) 등 시시때때로 홍수가 댐을 월류해 양동·양천마을 등이 침수되고, 최근 들어서도 하천 주변 주민 대피소동이 빈번해지고 있다.

회야댐의 기후변화 대응 댐 사업이 필요한 중요한 이유는 울산시민의 식수원 확보다. 울산의 식수원인 회야댐의 낙동강 원수 의존도는 거의 80%에 육박하고 있다. 그런데도 정부의 울산권 맑은 물 공급대책은 10년이 넘도록 감감무소식이다. 반구대 암각화 보호를 위한 사연댐 수문 설치로 인해 식수가 줄어든 만큼 울산에 대한 식수 보전 대책이 시급하다. 회야댐의 수위를 2.5m 높이면 20일 치의 식수를 추가 확보할 수 있다.

울산시는 자체 식수원 확보를 위해 소규모 댐 건설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했지만, 경제성 환경성 등의 문제에 부딪혀 있다. 회야댐 승고 사업은 극한 홍수와 가뭄으로부터 주민들의 생명을 보호하고, 가장 현실적으로 방법으로 자체 식수를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카드라 할 수 있다.

시는 회야댐 승고로 인해 주민들의 재산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최대한 배려하고 이주민을 위한 공원이나 복지시설 설치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나아가 회야강 상류지역의 수질 확보를 위해 양산시 등과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회야댐 수량을 확보하더라도 수질 확보에 실패한다면 안 하느니 못하다. 시는 최근 잇따라 터지는 회야강 수질오염 사고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