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하 CCUS법) 시행에 앞서 관련 시행령과 시행규칙 제정안이 마련됐다. 제정안에는 온실가스 감축에 필수적인 이산화탄소 저장소 확보와 운영, 관련 기업과 산업 지원 등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과 범위를 담았다. 또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집적화단지 지정·지원·제도 등도 담겼다.

이에 따라 총 3조원이 소요되는 울산시의 ‘동해가스전 활용 탄소포집저장(CCS) 실증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의 포집, 활용 및 저장과 관련한 CCUS 기술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할 국가전략기술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울산·부산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동해가스전 지하에 저장하는 ‘동해가스전 활용 탄소포집저장 실증사업’을 추진 중이다.

울산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비철금속 등 탄소배출이 많은 산업도시로 탄소포집저장 사업을 실증할 수 있는 최적지다. 현재 기재부의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중인 ‘동해가스전 활용 탄소포집저장 실증사업’은 무난히 예타를 통과해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사업은 단순히 동해가스전에 이산화탄소를 저장소를 만드는 사업이 아니라 울산이 탄소산업을 육성해 탄소중립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다. 탄소중립 기술의 연구와 관련 산업 생태계의 혁신을 촉진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일자리를 창출할수 있는 기회의 장이 열려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울산이 탄소중립 선도도시로 나아가기에는 갈갈이 너무 멀다. 탄소중립 관련 R&D(연구개발) 인프라가 뒷받침되지 못해서다. 울산에는 탄소포집과 활용 실증지원을 하는 국책 연구기관이 없다. 한국화학연구원 울산분원은 정밀화학과 바이오화학 분야를 주로 연구해 CCUS 기술과는 결이 다르다. UNIST 탄소중립융합원이 울산에서 유일하게 탄소중립과 관련한 전문 인력 양성과 탄소포집 등의 핵심기술을 연구하고 있을 뿐이다.

울산이 동해가스전을 매개로 탄소산업을 활성화하려면 CCUS 진흥센터 설립 등과 같은 전문 연구기관과 관련 기업을 적극 유치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탄소중립형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화학연구원 탄소중립화학공정실증센터를 유치한 전남 여수시에도 뒤쳐져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 기술 개발 및 산업화하는데 박차를 가해야 한다. 그래야만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도시로 나아갈 수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