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이 암(癌) 전이(轉移)를 막는 유전자의 기능을 세계 처음으로 밝혀냈다.

이에 따라 이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면 암의 마지막 단계에서 신체의 다른 장기나 조직으로 암이 번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표적 항암제'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백성희 교수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몸 속에 있는 'KAI1' 유전자가 'Tip60' 및 '베타카테닌'이라는 두 개의 단백질과 각기 작용함으로써 암의 전이를 억제하거나 전이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의 하나로 실시된 이번 연구결과는 이날 발간된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지에 실렸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KAI1' 유전자가 정상조직이나 전이 전 단계의 암 조직에서는 잘 나타나지만 전이단계 암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점에 착안해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팀은 전이단계 전립선암세포주(LNCaP)와 여기에 KAI1 유전자를 넣은 새로운 세포주(KAI1/LNCaP)를 만들어 각각 쥐에 주사했다. 그 결과 KAI1 유전자가 들어간 세포주를 투여한 쥐는 KAI1 유전자가 없는 세포주를 넣은 쥐에 비해 암세포가 폐로 전이되는 빈도가 현저히 감소했다.

백성희 교수는 "앞으로 KAI1 유전자의 단백질 조절 메커니즘을 조절하는 식으로 항암제를 개발하면 암의 전이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모든 암의 마지막 단계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암 전이를 직접 차단할 수 있는 표적을 제공한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