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정계, 유치에 적극 나서야

과학벨트 입지 울산 소외 우려

동남권 신공항 갈등에 이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선정을 두고 나라가 시끄럽다. 신공항 백지화로 울산을 비롯한 영남의 민심이 들끓자 신공항 백지화의 보상용으로 과학벨트에 대한 분산배치설까지 흘러나와 논란을 더욱 키우고 있다.

급기야 과학벨트를 대전, 대구, 광주에 분산배치한다는 정부 검토안까지 흘러나오면서 민심은 더욱 격앙되고 있다. 정부는 ‘점’ 개념이니 ‘벨트’ 개념이니 등으로 적극 부인하고 있지만 신공항 백지화 과정처럼 중앙 언론 등을 통해 흘리고 여론을 떠보는 식의 언론플레이를 경험한 터여서 신뢰를 얻기가 힘들어 보인다.

분산배치설이 나온 이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분산배치의 타당성을 옹호하는 듯한 발언이 잇따르면서 과학적 시각에서 입지가 결정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특히 대전, 대구, 광주의 삼각벨트론이 꾸준히 제기되면서 대구, 경북과 함께 과학벨트 공동유치에 뛰어든 울산 소외론도 대두되고 있다.

정부가 신공항 백지화로 격앙된 영남권, 특히 반발이 거센 대구·경북의 민심을 달래기 위해 과학벨트를 분산 배치할 수 있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면서 울산이 제외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대구시와 경북도 단체장과 오찬을 함께 하며 해당 지역 발전을 위한 노력을 약속했고 해당 단체장들은 과학벨트에 대한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그러면 울산은?’이라는 궁금증이 제기되고 있다.

받아들이기에 따라선 울산이 국책사업인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반발이 상대적으로 덜했기 때문에 배려(?)를 덜해도 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이를 반영하듯 울산시는 경북, 대구와의 과학벨트 공동유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한편으론 울산 소외에 대한 우려를 배제하지 않고 있다.

울산시는 실제 과학벨트 입지에서 제외될 경우에 대비해 유치 논리 개발에 나서는 등 개별 유치에라도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전국 최대의 산업도시 울산은 UNIST(울산과학기술대학교)의 연구기능과 연구성과물을 바로 시험할 수 있는 산업적 기반 등 과학벨트 입지로 경쟁력이 충분하다는 게 울산시의 판단이다.

경북·대구에 대해 공동유치 입장을 재확인하는 한편으로 울산 소외가 현실화될 경우 박맹우 시장이 직접 입장표명에 나서는 등의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울산시의 대응은 같은 영남권인 대구, 경북은 물론 타 유치권역에 비해 소극적으로 비쳐진다. 신공항 백지화 과정에서도 울산시는 물론 울산의 정치권이 목소리를 제대로 내고 전달했는 지는 의문이다.

동남권 신공항은 대구, 경남·북, 부산보다 전국 최대의 산업도시 울산의 특성상 물류의 원활한 수송을 위해 더욱 간절한 부분일 수 있었다. 항공수송을 필요로 하는 고부가가치 산업군 유치에 힘쓰고 있는 울산으로선 경남 밀양이든, 부산 가덕도든 인접지역내 신공항의 미래 필요성은 오히려 더욱 간절하다. 하지만 울산은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고 결과론적으로 정부의 배려(?) 대상에서도 후순위로 밀려난 듯 하다.

과학벨트도 마찬가지다. GRDP 4만달러의 산업수도 울산, 국가 기여도 1순위 이지만 미래를 위한 연구기능에서만큼은 항상 뒷순위였다. 대기업군이 밀집해 있지만 제대로 된 연구소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연구개발에 공을 들인 것도 얼마 되지 않은게 울산의 현실이다. 울산이 미래 경쟁력 있는 산업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연구기능의 확충은 필수다.

현재 불거지고 있는 과학벨트 분산배치를 둘러싼 이러저러한 논란을 보면 순수한 과학적인 시각에서 접근한다 하더라도 울산은 타 지역에 비해 충분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래를 고심하는 울산시와 울산 정치권이 ‘닭 쫓던 개 지붕쳐다 보는 격’이 되지 않도록 좀 더 적극적으로 유치전에 나섰으면 하는 바람이다.

신형욱 사회부 차장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