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동강 하굿둑 개방이 울산 물문제에 어떤 영향

▲ 최창환기자
Q: 정부가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을 전제로 한 3차 용역을 실시키로 해 하굿둑 개방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 청정식수원이 절대 부족한 울산시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시 염분 유입범위가 부산시 관할 기수구역인 하굿둑으로부터 10㎞를 넘어서는 안된다며 배수진을 치고 있다. 하굿둑 개방이 울산 물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본다.

낙동강 하굿둑 개방사업은 부산시의 역점사업으로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汽水域)을 복원해 낙동강하구의 생태계를 살려 관광자원화하겠다는 취지다. 울산시 등 낙동강 수계 지자체와 국토부의 반대로 사실상 중단 상태였던 이 사업은 지난 대선 때 부산시의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추진했고, 문재인 대통령이 받아들이면서 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정부 주요 부처는 지난 27일 하굿둑 수문 일부를 개방해 환경복원 효과와 염분 피해를 측정할 3차 용역에 착수키로 했다. 환경부는 3년이 걸릴 예정인 용역 기간 중 분기별로 한 차례 실무 협의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하굿둑 개방의 현실화를 기대하는 부산시는 한껏 고무됐다. 반대로 울산시는 신경을 바짝 곤두세우고 있다.

울산시가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낙동강 물이 시민의 생존권인 ‘청정수원 부족’이라는 울산의 현실과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울산의 최근 10년간 일평균 상수도 수요량은 33만t(하절기는 최대 38만t)이지만 ‘댐 물’로 요약되는 청정수원 확보량은 27만t에 그친다. 부족한 수요량 6만t(연평균 1997만t·총 사용원수의 17%)은 낙동강 원수로 충당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시민들은 원수요금 외에 물이용부담금(t당 170원)으로 연간 최대 100억원을 추가 부담해 왔다.

특히 국보 285호 반구대암각화 임시 보전방안으로 사염댐 수위조절을 시행하면서 울산의 청정수원 부족현상은 더욱 심화됐다. 52년만에 사연댐 취수 ‘완전 중단’이라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위기감이 최고조다. 반구대암각화 보존방안으로 제시된 생태제방안이 부결되면서, 장기간 이같은 문제는 되풀이 될 전망이다. 대체안으로 정부가 추진한 ‘울산권 맑은물 공급사업’(청도 운문댐에서 하루 7만t을 끌어오는 방안)은 ‘대구·경북권 맑은물 공급사업’과 맞물려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

결국 낙동강물에 대한 의존율이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낙동강 하굿둑까지 개방시 의존율에 비례해 울산시민들이 부담해야 할 물값과 정수비용 등이 현재와 비교조차 되지 않을 정도로 가중될 수 있다. 울산시가 낙동강 물을 끌어 쓰는 원동취수장은 낙동강 하구언으로 27㎞ 지점에 위치해 있다. 1·2차용역에서 하굿둑 완전 개방시 30㎞ 지점까지 염분피해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10㎞까지를 한계점으로 설정하고 대정부 설득에 나선다는 방침이지만 환경부로 물정책이 일원화시키는 정부정책방향 등을 감안할 때 울산시의 입장 관철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최창환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