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규옥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시각디자인 전공 교수

세계 각국의 도시들이 저마다 낙후되었던 경관을 디자인을 통해 개선하여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개성 있는 도시경관은 대내외투자를 유치하는데 필수적인 경쟁력이자 그 사회의 수준과 성취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도시가 품고 있는 장점과 매력을 배가시켜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 또한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이를 위해 지자체에서는 건축, 도로, 가로시설물 등의 경관요소와 무형의 도시구성요소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도시 디자인 개념을 지역사회에 핵심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도시디자인의 흐름을 보면 변화를 읽을 수 있다. 과거에는 간판, 가로시설물 등을 이용해 시각적으로 도시외관을 아름답게 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한 순간 즉각적으로 느껴지는 도시의 인상을 중요시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반면 현재는 외관의 미보다는 그 도시만이 가진 역사와 문화를 담아내는 디자인을 강조하고 있다. 모든 디자인이 반드시 ‘새로움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만은 아니다. 낡은 것은 낡은 대로 가치와 매력이 있는 법이다.

특히 도시디자인은 주민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공서 디자인전문가의 의욕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면 간판이 무질서하다고 무조건 전면 교체를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과 어우러진 디자인의 간판을 시범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주민들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지원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세계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 가보고 싶은 도시로 손꼽히는 도시들은 디자인정책의 두드러진 공통점이 있다. 바로 시민, 행정가, 디자인전문가들이 함께 지역 생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비롯된 미래문제를 고려해 정책을 만들어나가는 ‘시민 참여형’이라는 점이다.

도시디자인은 주민 참여의 폭을 넓히는 것이 첫 번째일 것이다. 이러한 협력을 통해 실제 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디자인의 실체에 접근해나갈 수 있다. 주민의 입장에서 도출해내는 디자인, 즉 시민중심의 디자인사업과 실행이 활발히 이뤄질 때, 도시디자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규옥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시각디자인 전공 교수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